[편집실에서74]노란 종이비행기(2017.01.17ㅣ주간경향 1210호)

책꽂이 한쪽 구석에 노란 종이비행기가 놓여 있다. 겉에는 ‘잊지 않기 위해’라고 쓰여 있다. 종이비행기는 왜 거기 있을까. 종이비행기를 펼쳐본다. ‘잊지 않고 기억하겠다는 2년 전 약속 오늘 다시 되새겨봅니다. 그리고 그 약속 영원히 잊지 않겠다고 2주기인 오늘 다짐합니다. 다시는 이런 일이 없도록 가만히 있지 않고 행동하겠습니다. 별이 된 모두 진심으로 사랑합니다.’ 그날의 추억이 회한으로 되살아난다. 지난해 4월 16일, 세월호 참사 2주기를 맞아 뒤늦게 달려갔던 팽목항. 거기에서 아이들에게 보내려고 버스 안에서 꾹 눌러 쓴 편지. 세찬 비바람 탓에 날리지 못하고 품속에 간직한 채 돌아올 수밖에 없었던 종이비행기. 날릴 수만 있었다면 중력, 추력, 항력, 양력의 원리를 넘어 무한비행으로 천국으로 보낼 수 있었다고 믿었는데….
많은 이들이 말했다. 그날 이후 시간은 세월호 이전과 이후로 나뉠 것이라고. 또 한국 사회가 많이 달라질 것이라고. 세월호 이후 1000일이 됐다. 그리스신화에는 2개의 시간 개념이 나온다. 크로노스와 카이로스. 크로노스는 누구에게나 주어지는 시간이다. 카이로스는 의미 있는 자신만의 시간을 의미한다. 1000일은 누구에게는 크로노스의 시간이었을 터이고, 누구에게는 카이로스의 시간이었을 것이다. 세월호 이후 의미 있는 삶을 산 이들에게 1000일은 지옥과 같은 시간만은 아니었다. 잊지 않고 행동하겠다는 다짐의 시간이었다. 연대와 공감의 시간이었으며, 희망과 변화의 시간이었다. 많은 이들이 그것을 느끼기 위해 안산으로, 팽목항으로, 동거차도로 달려갔다. 그 순례는 미안함과 안타까움을 딛고 당당하게 살겠다는 몸부림이자 의지의 표현이었다. 그것은 100만 촛불에 하나라도 더 보태고자 토요일마다 광장으로 달려가는 이들의 심정과 같다. 내가 없으면 어떡하나. 나마저 외면하면 어떡하나. 이는 연대와 공감의 발로이자 핵심이다.
<조찬제 편집장 helpcho65@kyunghyang.com>
원문보기:
http://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code=124&artid=201701101544251#csidxcfd860f2cb8a436a85b63cd9901e74b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