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무기가 쓴 기사/경향신문 사설

[사설] 심상찮은 변이 바이러스 확산세, 방역 비상벨 울려야(210506)

emugi 2021. 5. 5. 20:42

국내에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확산세가 심상치 않다. 영국발 변이 바이러스 감염자가 급증하고 있는 울산시는 5일 다중이용시설 종사자에 대한 선제검사 행정명령을 내렸다. 그만큼 상황이 심각하다는 의미다. 전파력이 1.7배나 더 강해진 영국발 변이 바이러스는 신속한 초동단계 차단이 급선무가 됐다. 정부는 길어지고 있는 코로나19 방역에 중대 분기점을 맞았다는 비상한 각오로 만전을 기해야 한다.

방역당국이 최근 1주간(4월25일~5월1일) 코로나19 확진자 중 656명의 유전자 검사를 한 결과 14.8%인 97명이 영국·남아공·브라질 등 주요 3종 변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검출률은 지난달 초(7.2%)에 비해 두 배 이상 높아졌다. 전체 변이 바이러스 감염자는 다른 변이까지 더하면 2000명 가까이나 된다. 선별검사한 결과이기에 실제 변이 바이러스 감염자는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중에서도 영국발 변이 바이러스는 전체 감염자의 90%를 차지할 정도로 우세종이 돼가고 있다. 특히 울산시에서의 이 바이러스 확산세가 두드러진다. 지난 3월 2주차부터 4월 2주차까지 6주간 울산 확진자 80명의 검체 검사 결과 63.8%에서 영국발 변이가 검출됐다. 울산의 코로나19 확진자 수도 3월 144명에서 지난달 772명으로 급증해 월별 최다 숫자를 기록했다. 울산지역 변이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통제하지 못하면 언제든 전국으로 퍼질 수 있는 위기 국면이 됐다.

 

방역당국은 전방위적인 대응책을 세워야 한다. 그간 백신 수급에 집중해온 당국으로서는 변이 바이러스 차단이라는 복병까지 만나게 됐다. 어느 하나 소홀히 할 수 없는 문제다. 변이 바이러스 감염자는 해외 유입보다 국내에서 전파되는 사례가 많다. 변이 바이러스 감염자를 조기에 검사·포착해 격리하고, 그 접촉자도 철저히 추적·관리해야 한다. 아직은 영국발 변이보다 감염자가 많이 적은 편이지만 남아공·브라질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경계도 소홀히 해선 안 된다. 특히 울산시 다중이용시설 종사자들은 오는 14일까지 임시 선별검사소 진단검사에 적극 협조하길 바란다. 정부는 변이 바이러스 확산세를 저지할 수 있는 백신 물량 확보와 접종 속도를 높이는 데도 박차를 가해야 한다. 집단면역이 이뤄질 때까지는 코로나19와의 전쟁이 끝난 게 아니다. 시민들도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경각심을 갖고 방역수칙 준수에 소홀함이 없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