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무기가 쓴 칼럼/편집실에서

[편집실에서79]끝없는 기다림(2017.02.28ㅣ주간경향 1215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구속되던 날, 얼마나 많은 이들이 밤잠을 설쳤을까. 나라 걱정, 경제 걱정, 삼성 걱정 등 저마다의 걱정거리를 품고 평소보다 일찍 눈을 뜬 이들이 많았을 것이다. 나도 그들 중 한 명이었다. 물론 목적은 달랐다. 마감날이면 남들보다 먼저 일어나 늦게 자는 게 일상이 됐지만 이날은 지면 걱정이 다른 때보다 컸기 때문이다. 이 부회장의 구속은 안 그래도 정신 없는 마감날을 더 부산하게 만들 게 뻔했다. 눈을 뜨자마자 스마트폰을 체크했다. 내가 정한 예상시간이 지나도 관련 뉴스가 뜨지 않았다. 졸면서 기다렸다. 난데없이 궁금증이 일었다. 얼마나 많은 이들이 이 부회장의 구속 여부에 관심을 갖고 평소보다 일찍 일어났을까. 장담컨대 새벽에 열리는 스포츠 경기를 지켜보기 위해서만큼은 아닐 터이다. 아무리 큰 관심사라 하더라도 스포츠와는 다를 테니까. 그리고 운명의 시간을 맞을 특검 관계자와 이재용 부회장 등 이해당사자과 관계자들을 제외하면 누가 관심을 가졌을까. 페이스북과 트위터에 답이 있다. ‘오지랖 공화국’이라 할 만하다.

그랬다. 지난해 12월 9일 이후 시간은 기다림의 연속이었다. 국회가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의결한 이후 많은 이들이 불면의 밤을 보내거나 특별한 이유없이 아무 데서나 서성대다 지쳐갔다. 생업마저 제대로 잇지 못하는 이들조차 있다. 그럼에도 구름 사이로 비치는 한줄기 빛 같은 소식을 위안 삼아 기다리고 또 기다린다. 우리가 보낸 시간은 어떤 시간이었을까. 앞으로 마주할 시간은 또 어떤 시간일까. 지난해 12월 9일 이후 시간은 분명 여느 때와는 달랐다. 같은 공간이지만 상반된 시간이 공존했다. 촛불과 태극기의 시간이었고, 정의와 불의의 시간이었다. 과거와 미래의 시간이었고, 진보와 퇴보의 시간이었다. 정상과 광기의 시간이었고, 환희와 환멸의 시간이었다. 다른 의미에서는 살처분의 시간이자 유폐의 시간이기도 했다.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공이 고도를 기다리듯 그 시간 동안 사람 대신 닭들과 소들이 죽어나갔다. 절대 그럴 일 없을 것 같던 김기춘·조윤선·안종범·최경희 같은 이들이 구속됐다. 그런가 하면 누군가에게는 아예 시간이 멈춘, 지옥 같은 시간이었을 터이다.

기다림의 시간은 끝나지 않는다. 특검 시한이 만료되는 이달 말이나 헌법재판소의 박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 결정이 내려질 것으로 예상되는 3월 초순, 탄핵 인용 시 5월 조기 대선까지 숨막히는 기다림이 기다리고 있다. 끊임없이 인내와 끈기를 요구한다. 얼마 전까지 어느 유력 대선주자의 등장과 사라짐을, 여론조사 결과 유력 주자의 추락도 지켜봤듯이 대선판은 또다시 요동칠 것이다. 이재용 부회장의 구속이 진행 중인 특검 수사나 탄핵심판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누가 새로운 수사대상이 될지 숨죽이며 지켜봐야 한다. 대개는 평상심을 유지할 것이고, 가끔은 조바심에 몸둘 바 몰라 할지도 모른다.

어떤 기다림이든 그 속에는 저마다의 염원과 인고가 응축돼 있다. 남들의 예의에 어긋나는 기다림의 행동방식에 실망할 필요가 없다. 바라는 결과가 나오지 않더라도 누구를 탓할 수 없다. 그러한 군상들의 시간들이 쌓이고 쌓여 역사가 된다. 그래서 우리는 봄을 노래한 시인처럼 끈기 있게 기다려야 한다. 일제강점기 때 시인 김영랑은 “모란이 피기까지는 나는 아직 나의 봄을 기다리고 있을 테요, 찬란한 슬픔의 봄을”이라고 노래했다. 시인 황지우는 30여년 전 “나무는 자기의 온몸으로 나무가 된다”고 노래했다. 아직 봄은 오지 않았다. 그러나 꽃 피는 봄은 기필코 올 것이다. 인고의 시간을 견디고 꽃을 피우는 나무처럼 우리의 기다림은 어떤 꽃으로 피어날까.


<조찬제 편집장 helpcho65@kyunghyang.com>

원문보기:
http://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code=124&artid=201702211710211#csidxfd5abd45e8d36e3aa619c33daf1cd4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