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무기가 쓴 칼럼/편집실에서

[편집실에서62]밥 딜런과 블랙리스트(2016.10.25ㅣ주간경향 1198호)

미국 싱어송라이터 밥 딜런의 노벨 문학상 수상 소식이 반가워 ‘블로잉 인 더 윈드’와 ‘노킹 온 헤븐스 도어’를 모처럼 들었다. 들으면서 이런 생각을 했다. 그의 수상은 문화예술계 인사 블랙리스트로 시끄러운 우리에게 보낸 경종이 아닐까. 나지막이 읊조리는 그의 목소리와 음미하게 하는 가사가 전하는 메시지는 예나 지금이나 울림이 크다. 중장년층이라면 밥 딜런 노래의 힘을 안다. 블랙리스트 파문이 한창이던 때 날아온 밥 딜런의 수상 소식은 현 정부에는 청천벽력일지 모르지만 평범한 시민들에게는 한 줄기 희망의 빛이 아닐까 싶다.



블랙리스트라는 말 속에는 음침함과 조작, 비겁함과 겁박, 반자유와 반풍자 등이 섞여 있다. 역사적으로 블랙리스트의 부정적 측면을 보여준 대표 사례가 ‘할리우드 블랙리스트’다. 1940~50년대 냉전시대 당시 반미활동조사위원회(HUAC)와 매카시즘 열풍으로 할리우드 인사뿐만 아니라 교사와 군인, 공직자와 그들의 가족은 실직·파산·이혼하거나 심지어 자살하기도 했다. 블랙리스트에 오른 수백명의 할리우드 인사 가운데 ‘할리우드 10’이 있다. 이들은 HUAC에의 협조를 거부해 투옥되고 활동까지 금지당했다. <로마의 휴일>과 <용감한 사람>으로 두 차례 아카데미 각본상을 받은 시나리오 작가 달튼 트럼보가 대표 인물이다. 지난봄 국내에서 개봉한 <트럼보>는 11번이나 이름을 바꾸며 살아야 했던 그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다. 트럼보는 죽기 1년 전인 1975년이 돼서야 자신의 이름으로 <용감한 사람> 각본상을 받았고, <로마의 휴일> 각본상은 죽은 뒤 17년이 지나서 부인이 대신 받았다. 할리우드가 블랙리스트의 암흑기를 벗어난 때는 1960년대다. 영화계에서는 1960년대 말~1970년대 초를 ‘아메리칸 뉴 시네마’라고 부른다. 베트남전의 여파로 사회적 모순이나 부정적 현실을 다룬 비판적 영화를 일컫는다. 현재 할리우드 스타들이 적극적인 정치 참여 목소리를 내는 것은 그런 과거 덕분이다.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를 보면 한국 사회는 과거에서 한 발짝도 진전이 없는 것 같다. 박근혜 정부는 풍자를 풍자가 아닌 현실로 받아들인다. 문화예술계 인사 9473명을 담은 블랙리스트의 키워드는 세월호, 문재인, 박원순이다. 정치색이 짙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현 정부와 대통령은 탄핵사안 아닌가”라며 반발했다. 현 정부의 문화검열 사례는 과거 정부에 비해 도를 넘는 수준이다. 특히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비판의 잣대는 엄격하다. 2012년 대선 당시 고교 동창 자격으로 문재인 후보를 지지한 연극인 이윤택씨가 1위를 한 지원사업에서 탈락한 게 대표 사례다. KBS <개그콘서트>의 단골 메뉴가 됐던 이명박 정부 때나 일베들의 놀림감이 됐던 노무현 대통령 때도 블랙리스트는 없지 않았던가.

이 의혹을 제기한 도종환 시인(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비판을 허용하지 않는 건 죽은 사회이고 눈 먼 자들의 국가”라고 말했다. 그렇다. “웃자고 한 얘기에 죽자고 덤빈다”(김제동)면 할 말이 없다. 미국 이야기를 다시 하면 버락 오바마를 비롯한 역대 대통령은 시사 토크쇼의 단골 풍자 대상이었다. 그들은 반발은커녕 오히려 출연을 희망하고, 출연해서는 진행자의 농담을 유머로 받아 넘긴다. 정부 시책에 반대하는 문화계 인사들의 정치적·사회적 발언에 대한 한국과 미국 정부의 포용성은 태평양만큼이나 간극이 크다. 풍자가 허용되지 않는 사회는 불행하다. 한국 공중파에서 풍자 프로그램은 TBS 라디오의 <9595쇼>뿐이라고 한다. 그렇다고 풍자는 사라지지 않는다.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같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가 대신하고 있지 않은가.

<조찬제 편집장 helpcho65@kyunghya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