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무기가 쓴 기사/온라인

1800년 만에 풀린 검투사 비석의 대반전…심판의 배신

1800년 전 로마시대의 한 검투사 경기장. 경기에서 승리한 검투사는 칼 두 자루를 들고 패자 앞에 기세등등하게 서 있다. 반면 패자는 엉덩방아를 찧은 채 굴복하고 있다. 

이는 벨기에 수도 브뤼셀의 생캉트네르 박물관에 소장돼 있는 비석(아래 사진)에 부조된 검투사들의 모습이다. 과연 이 부조에 묘사된 패자의 운명은 어떻게 됐을까. 할리우드 영화처럼 승자는 패자를 죽이고 관중들 앞에서 환호할까.


결론은 정반대다. 죽은 검투사는 패자가 아니라 승자였다. 대반전의 비밀은 바로 심판의 반칙에 있었다.
1세기 전 터키에서 발굴된 이 비석의 비문 해독에 매달려온 캐다나 교수가 비문의 수수께끼를 1800년 만에 풀었다. 

과학 전문 웹사이트인 라이브사이언스닷컴은 지난 20일 캐나다 브록 대학의 마이클 카터 교수가 이 비석의 비문을 해독한 결과 승리한 검투사가 심판의 치명적인 반칙으로 경기에서도 지고 목숨도 잃은 내용을 담고 있다고 보도했다. 

카터 교수에 따르면 비문의 내용은 “내(디오도루스)가 데미테트리우스를 꺾은 뒤 그를 즉시 죽이지 않았다. 운명과 심판의 간사한 배반이 나를 죽였다”는 것이다. 

쉽게 풀이하면 경기에서 승리한 검투사의 이름은 디오도루스이며, 패자는 데미테트리우스다. 하지만 디오도루스는 경기에서 이겼지만 심판의 배반으로 다시 경기를 해 결국 져서 목숨까지 잃었다는 것이다. 이떻게 이 같은 대역전이 가능했을까. 

카터 교수는 이 같은 대역전이 가능했던 것은 로마 검투경기에 다양한 규칙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에 따르면 검투사 경기에는 대부분 심판이 존재했다. 심판의 역할 가운데 하나는 쓰러진 검투사가 패배를 인정할 경우 경기 주최자가 이를 받아들이면 패자는 더 이상의 해를 입지 않고 경기장을 떠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 하나는 검투사가 실수로 넘어질 경우 경기를 재개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이 있다는 것이다. 

디오도루스와 데미테트리우스의 경기는 두 번째 경우에 속한다는 것이 카터 교수의 해석이다. 카터 교수는 “데미테트리우스가 굴복 신호를 보내 디오도루스가 그를 죽이지 않았으며, 뒤로 물러난 뒤 승자가 되는 것을 기대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그 순간 심판이 개입해 경기를 재개시켰고, 이번에는 디오도루스가 곤경에 처해 현장에서 죽었거나 경기에서 입은 상처로 인해 나중에 사망했다는 것이다. 

디오도루스가 죽자 가족이나 친구들은 분개했으며, “운명과 심판의 간사한 배반에 나를 죽였다”는 문구를 비문에 의도적으로 넣었다는 것이 카터 교수의 해석이다. 

카터 교수의 연구 결과는 ‘고대 금석학 및 고문서학 저널’ 최신호에 실릴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