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무기가 쓴 칼럼/편집실에서

[편집실에서57]야코브, ‘정상’에 대해 묻다(2016.09.13ㅣ주간경향 1193호)

“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야코브입니다. 사람들은 저를 처음 만나면 본능적으로 충동을 느껴요. 빨리 도망쳐버릴까, 아니면 죽여버릴까. 그런데 오늘 저녁은 참 평화롭군요.” 텅 빈 덴마크 왕립극장 무대 위. 한 청년이 이렇게 외친다. 목소리는 명료하지 않다. 그의 외침은 무엇을 의미할까. 궁금증은 곧 풀린다. 이 외침은 마지막 장면에서 반복된다. 그러나 이번에는 텅 빈 객석을 향해서가 아니다. 극장을 가득 메우고 열광적으로 환호하는 관객들 앞에서다. 막은 내려지고 감동의 여운은 진하게 남는다.

지난달 28일 막을 내린 EBS 국제다큐영화제(EIDF 2016)에서 대상을 받은 <내추럴 디스오더(Natural Disorder)>를 본 것은 행운이었다. 이 다큐는 한국인 입양아, 뇌성마비 장애인, 삶을 연극으로 반추한 점 등 극적 요소를 모두 갖췄다. 야코브의 이름은 ‘야코브 윤 에게스코프 노셀’이다. 태어난 지 3개월 만에 덴마크 양부모에게 입양됐다. 야코브에게서 장애가 발견된 것은 입양 이후였다. 입양기관에서 아이를 바꿔주겠다고 했지만 양부모는 끔찍한 제안을 하지 말라는 식으로 거절했다. 장애는 그의 열정을 막지 못했다. 그는 코미디언과 초청연사로 활동 중이고, 대학에서는 저널리스트가 되기 위한 공부를 했다. 이미 여러 편의 다큐에 출연했으며, 특히 2009년에 출연한 다큐 <레드 채플(Red Chapel)>은 2010년 선댄스영화제에서 국제다큐 부문 심사위원 대상을 받았다.

 

<내추럴 디스오더>는 야코브의 성공 스토리를 그린 다큐가 아니다. 27년 동안 그가 겪은 혼돈스런 삶에 대한 질문을 한 편의 연극으로 올리는 과정을 담았다. 그것은 ‘정상성’에 관한 것이다. 그는 거리에서 비장애인들에게 묻는다. “여러분은 어떤 사람이 비정상이라고 생각하나요?” 반응은 우리가 예상하는 그대로다. 겸연쩍게 웃음 짓거나 대답을 회피하며 다른 사람에게 떠넘긴다. 하지만 그에게 이 질문은 매우 중요하다. 27년 동안 품어온 궁금증이자 앞으로 살아갈 이유다. 피하려 해도 그럴 수 없다. “사실 제 인생은 시작부터 지금까지 긴 싸움이었어요. 이번이 마지막이에요. 제 삶에 가치가 있다는 것을 입증하지 못하면 무덤으로 들어갈 작정입니다.” 야코브의 연극은 그것을 찾으려는 질문들로 시작한다. “나는 살 권리가 있는가?” “나는 장애가 있는 아이를 갖고 싶은가?” “정상성이라는 것이 과연 존재하는가?” 이 세 가지 질문들은 우리에게 던지는 질문이나 다름없다. 우리 안에 고착돼 있는 ‘비정상’과 ‘정상’에 대한 관념을 직시하게 한다. 당혹스럽지만 야코브와 마찬가지로 우리도 피할 수 없다. 역지사지의 상황, 다름과 차이에 대한 불편한 진실을 고스란히 느끼게 된다.

야코브는 공연 예정일 6개월을 앞두고는 교통사고로 뇌진탕을 당하고, 막판에는 대장 전체를 들어내는 수술을 받는 등 우여곡절 끝에 무대에 섰다. 그리고 세상을 향해 외친다. 그것은 살아갈 권리가 있다는 자신감의 표현이자 세상과의 화해의 신호다. 감동으로 가득찬 이 다큐에서 특별히 뇌리를 떠나지 않는 장면이 있다. 세 가지 질문 중 두 번째 질문과 관련이 있다. 야코브가 아직 태어나지 않은 아이에게 보내는 편지를 읽는 장면이다. 결혼한 상황을 상정한 것도 그렇지만 어눌한 목소리에 담긴 진정성, 슬픔과 행복이 교차하는 듯한 묘한 표정에 눈시울이 뜨거워졌다. “만약 네가 너무 많은 난관들에 맞서 싸워야 하는 인생을 바라지 않는다면 아빠처럼 태어나라고 말하지 않을게. 하지만 경험을 얻고, 세상을 보는 통찰력도 얻고, 마음속으로 수천 리의 길을 떠나고 싶다면 아빠처럼 태어나도 돼.”

<조찬제 편집장 helpcho65@kyunghya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