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무기가 쓴 칼럼/편집실에서

[편집실에서83]봄날은 간다(2017.03.28ㅣ주간경향 1219호)

탄핵 선고를 받은 박근혜 전 대통령이 청와대를 떠난 며칠 뒤 인왕산에 올랐다. 불과 일주일 전과 공기부터 달랐다. 봄기운이 만연한 듯했다. 새싹들과 새순들의 아우성에 무거운 머리가 이내 맑아지는 걸 느꼈다. 어느 정도 오르자 청와대가 한눈에 들어왔다. 탄핵 전과 후, 멀리서 바라보는 청와대에 무슨 차이가 있을까마는 주인 없다는 씁쓸함이 상념의 한자락을 불러냈다. 29년 전 88서울올림픽 전후 기간 동안 나는 대전 시가가 내려다 보이는 식장산 정상부에 있었다. 군복무 중이었는데, 정상에 있는 방송사 중계탑 보호가 우리의 임무였다. 반복되는 일상의 무료함을 달래준 것은 대전 시내 야경과 북쪽으로 희끗 보이는 대청호였다. 당시 대청호 그 어딘가에 있을, 가본 적 없는 대통령 별장 청남대를 떠올리며 권력의 무상함을 애써 느껴보곤 했다. 지금 발 아래에서는 빈 청와대를 차지하려는 대권주자들의 사생결단의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누가 주인이 될지 모르지만 그 순간만은 스멀스멀 피어올랐다가 사라지는 봄날의 아지랑이처럼 덧없어 보였다.

나만 그런 건 아니었다. 곳곳에서 만나는 등산객들은 청와대를 바라보면서 가슴속에 감춰둔 저마다의 응어리를 쏟아냈다. 혀를 차는 이들도 있었다. 이들의 표정은 유쾌하지만은 않아 보였다. 마치 준비가 되지 않은 사람들이 갑자기 다가온 봄을 맞았을 때의 당혹감 같은 것이 묻어났다. 그랬다. 지난겨울 내내 마음 졸여온 사람들은 탄핵이 일상으로 돌아가는 계기가 되길 바랐다. 막힌 정국의 돌파구가 되길 염원했다. 하지만 소소한 일상의 즐거움조차 누르고 살아온 이들에게 조기 대선이 가져온 현실은 그마저 허용하지 않았다. 찬성 쪽이든 반대 쪽이든 모두가 그랬다. 나 또한 예상을 뛰어넘는 상황이 아찔하기만 하다. 방귀 뀌는 놈이 우긴다는 속담처럼 국정농단 잔당들에게 품위는커녕 염치조차 기대하기 힘든 상황이다. 그러나 현실은 현실이다. 이럴수록 마음을 다잡기 위해, 산책이 주는 위안을 얻기 위해서라도 자주 인왕산에 가야겠다고 다짐한다. 인왕산 산책은 일상의 최대 즐거움 가운데 하나다. 산은 언제든 포근하게 맞아준다. 마음 맞는 벗과 함께하든 홀로든 산책은 마냥 즐겁다. 복잡한 세상사로부터 잠시나마 멀어질 수 있고, 사색에 잠길 수 있어 좋다. 맛있는 점심은 덤이다.

대선 시계가 확정된 이후 촌음조차 아까울 대선주자들의 마음속에 봄이 들어갈 손톱만큼의 자리라도 있을까 싶다. 뛰어도 뛰어도 시간이 부족한 이들에게 혼자 걸어보라는 것은 무리일 터이다. 하지만 홀로 산책해보길 진정으로 권한다. 그래야만 보지 못한 것들을 본다. “내려갈 때 보았네 올라갈 때 보지 못한 그 꽃”이라고 고은 시인이 갈파하지 않았던가. 혼자 걸으면서 자신의 입에서 쏟아내는 말들, 머릿속에서 나온 정책들, 가슴속의 열정이 진정 자신의 것인지 되돌아봐야 한다. 자신의 언행이 국민들의 마음에 상처를 주지는 않는지 반추해봐야 한다. 자신이 말하는 애국이 누구를 위한 것인지도 자문해봐야 한다. 혹여나 권력욕에 사로잡혀 있는 것은 아닌지 고민해야 한다.

권력욕은 사랑과 같다. “어떻게 사랑이 변하니?” 2000년대 초반 영화 <봄날은 간다>에서 남자 주인공 상우(유지태 분)가 은수(이영애 분)에게 한 말이다. 은수의 답은 단호하다. “헤어져.” 사랑이 다가왔다고 생각하는 그 순간, 이별이 기다리고 있다. 손만 내밀면 잡을 것 같은 권력도 그 순간, 신기루처럼 사라진다. 대선은 그런 권력욕에 사로잡힌 사람들을 모아놓은 용광로다. 일장춘몽으로 끝나긴 했지만 뒤늦게라도 깨달은 이들은 명분이라도 얻었지만 이조차 모르면 지금까지 쌓아온 모든 것을 한순간에 잃는다.


<조찬제 편집장 helpcho65@kyunghyang.com>

원문보기:
http://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dept=124&art_id=201703211843481#csidxe7108dea9dc6bf89e2ba919f3e9d45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