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무기가 쓴 칼럼/여적

[여적] 긴즈버그의 유산(200928)

지난 18일 세상을 떠난 미국 연방대법관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RBG)는 ‘진보의 아이콘’으로 불린다. 법조인으로서의 긴즈버그의 삶은 ‘여성 차별과의 투쟁’ 그 자체다. 그가 남긴 최대 유산이기도 하다. 변호사 시절은 물론 대법관 시절, 그는 성차별적 법률을 폐지하며 여성권 신장에 앞장서왔다. 연방대법원 구성의 성비 불균형에 대해서도 가차없이 비판했다. “나는 가끔 질문을 받는다. ‘연방대법원에 여성이 충분할 때가 언제인가.’ 내 대답은 ‘9명 있을 때’이다. 사람들은 놀란다. 하지만 9명 모두 남성이었을 때 아무도 그런 의문을 제기하지 않았다.” 그의 또 다른 유산은 ‘자신보다 못한 사람과 개인이 아닌 공동체를 위한 삶’이다.

 

긴즈버그는 ‘노토리어스(악명 높은) RBG’로도 불린다. 그가 대법원에서 “나는 반대한다”고 외치는 것에 감명받은 로스쿨 학생이 유명 래퍼 ‘노토리어스 BIG’에 빗댄 만든 별칭이다. 그때 긴즈버그의 나이는 여든 살이었다. 별칭대로 그는 힙합 스타처럼 유머가 넘치고 활력에 찬 말년을 보냈다.

 

긴즈버그가 가고, 배럿이 온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긴즈버그가 땅에 묻히기도 전에 그의 후임에 여성 판사 에이미 코니 배럿(48)을 지명했다. 상원 인준을 통과하면 5번째 여성 대법관이 된다. 배럿은 보수주의자의 전형이다. 가정과 일 모두 성공적으로 이끌어왔다. 7명의 자녀 중 두 명이 입양아다. 한 명은 다운증후군을 앓고 있다. 긴즈버그 별칭에 빗대 배럿의 이니셜을 딴 ‘노토리어스 ACB’라고 새긴 티셔츠도 이미 나왔다. 배럿이 자신의 긴즈버그가 되길 바라는 트럼프의 소망이 현실화하고 있는 것이다.

 

배럿은 긴즈버그를 “유리천장을 깼고, 우리 모두에게 모범”이라고 극찬했다. 하지만 법관으로서의 두 사람의 지향점은 상반된다. 긴즈버그는 “판사는 그날의 날씨가 아닌 시대의 기후를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반면 배럿은 “판사는 자신이 가졌을지도 모를 정책적 관점을 배제해야 한다”고 했다. 배럿의 지명은 연방대법원 지형이 보수(보수 6, 진보 3)로 더 기울면서 미국 사회에 엄청난 지각변동을 가져올 것임을 예고한다. 긴즈버그의 유산이 훼손되는 일은 시간 문제가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