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편집실에서9]훔쳐보기 유혹(2015.09.15ㅣ주간경향 1143호) 영국의 공리주의 철학자 제러미 벤담은 죄수를 효과적으로 감시할 목적으로 원형감옥을 고안했다. ‘파놉티콘(panopticon)’이다. ‘모두(pan)’와 ‘본다(opticon)’는 그리스어를 합성한 것이다. 벤담이 그린 것은 원형감옥 중앙에 감시탑이 있고, 감시자는 그 탑 안에서 전체 죄수의 일거수일투족을 감시할 수 있는 구조다. 감시자가 있는 탑 안은 어둡고, 죄수들이 갇혀 있는 방은 환하게 돼 있어 죄수들은 보이지 않는 감시자의 시선을 느낄 수밖에 없다. 최소한의 비용으로 최대한의 효과를 낳기 위한 이 같은 구조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라는 명제를 낳은 벤담의 생각을 잘 보여준다. 벤담의 계획은 당시 실현되지 않았다. 하지만 그의 감시 개념은 건축을 넘어 철학적 고찰 대상으로 확장됐다. 영국 소설.. 더보기
[편집실에서8]‘난워킹 리치’와 ‘난, 워킹 리치!’(2015.09.08ㅣ주간경향 1142호) “‘워킹 푸어(Working Poor)와 난워킹 리치(Non-working Rich)가 함께 증가하는 것은 새로운 현상이다. 이는 일하는 만큼 돈을 벌 수 있다는 미국의 가치를 훼손해 결국은 미국 민주주의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 1990년대 빌 클린턴 미국 행정부에서 노동장관을 지낸 버클리대 경제학자 로버트 라이시 교수는 지난 3월 말 허핑턴포스트에 기고한 ‘워킹 푸어와 난워킹 리치의 증가’라는 글에서 이렇게 지적했다. 그는 미국의 10대 부자 가운데 6명은 자산을 물려받은 상속자라고 주장하면서 월마트 가문의 재산이 미국 하위 40%의 재산을 합친 것보다 많다는 사례를 들었다. 그리고 2007년부터 2061년까지 상속될 자산규모는 59경 달러라는 보스턴대 연구자료를 인용했다. 당연히 반발이 나왔다... 더보기
[편집실에서7]벌레사회와 족제비의 지혜(2015.09.01ㅣ주간경향 1141호) ‘큰 구렁이가 창고 옆 족제비 구멍으로 들어간다. 잠시 후 족제비 새끼를 삼키고 배가 불룩해져 뜰로 기어 나온다. 암컷 족제비와 수컷 족제비가 깜짝 놀라 순식간에 구렁이 앞에 오더니 번갈아가며 땅을 파는데, 그 구덩이는 깊숙하고 길쭉하니 대나무 홈통 같다.그런 다음 구덩이의 양 끝을 제 몸길이에 맞춰 수직으로 파내려가더니, 암컷과 수컷이 그 속에 숨는다. 구렁이가 구불구불 기어서 족제비가 파놓은 구멍으로 들어간다. 머리부터 꼬리까지 틈이 없어 딱 들어맞는다. 얼마 뒤, 구렁이는 움직일 수도 없고 배를 뒤집을 수도 없어 드디어 죽고 만다. 아마도 두 마리의 족제비가 몰래 깨문 것 같다. 마침내 족제비가 구멍에서 나와 구렁이의 배를 가른다. 족제비 새끼 네 마리가 죽어 있는 듯하나 몸은 온전하다. 새끼들을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