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편집실에서69]촛불 앞의 ‘11·29 반동’(2016.12.13ㅣ주간경향 1205호) ‘신의 한 수’라고 여겼을지도 모르겠다. 비록 ‘꼼수’라는 비판을 받았지만 내심 ‘두고 보라’며 회심의 미소를 지었을 법도 하다. 이런 속내를 감추기 어려웠던가 보다. 너무나 즐거운 나머지 야당에 약 올리는 허튼소리가 튀어나올 정도였으니. “시쳇말로 약이 좀 오를 수 있다.” “손에 장을 지지겠다.” 그럼 어때. 어쨌거나 불가능하다고 여긴 거대한 물줄기를 바꿀 수 있는 전략임에는 틀림없으니까. 역풍이야 예상하지 못한 것도 아니지. 중요한 건 탄핵 대오를 뒤흔들고 시간을 버는 효과가 있다는 점이니까. 또 바람이 불면 언젠가 촛불이 꺼질지 누가 알랴. ‘단계적 퇴진’을 밝힌 박근혜 대통령의 3차 담화와 이틀 뒤 나온 ‘4월 퇴진·6월 대선’이라는 새누리당의 퇴진 로드맵 이후 전개되는 상황을 보면서 든 생각이.. 더보기
[편집실에서68]아직 촛불을 내려놓을 때가 아니다(2016.12.06ㅣ주간경향 1204호) 다섯 번째 거대한 촛불이 광화문광장에서 타오르기 하루 전인 11월 25일 이른 아침 출근길. 세종대로 사거리에서 잠시 멈춰서서 광화문광장 쪽을 바라본다. 어둠 속에서 광장은 깨어날 준비를 하고 있다. 그 너머 북악 아래 구중궁궐 청와대는 암흑천지처럼 어둠이 길게 드리워져 있다. 날마다 하루를 시작하는 발걸음을 내딛는 광화문광장이 남다른 의미로 다가온 지 다섯 번째. 그곳에서 벌써 분노한 민중의 거대한 함성이 들려오는 듯하다. 내일은 어떤 축제판이 펼쳐질까. 늘 그랬듯이 서로의 온기를 나누며 연대의 힘으로 대동세상을 만들 꿈을 담금질하겠지. 이런 상념에 빠진 채 광화문광장을 뒤로하고 회사 쪽으로 발걸음을 옮긴다. 하지만 뒤에서 뭔가가 목덜미를 강하게 잡아당기는 느낌이다. 도대체 뭘까. 그것은 한 달 동안 .. 더보기
[편집실에서67]‘머리 둘 달린 인간’을 제거하는 방법(2016.11.29ㅣ주간경향 1203호) 최순실이 박근혜 대통령을 조종하는 의 풍자 만평을 봤을 때 ‘머리 둘 달린 개’ 이야기가 떠올랐다. 1959년, 옛 소련 의사 블라디미르 데미호프는 작은 개 머리 부분을 잘라 큰 개 어깨에 접붙여 ‘괴물’을 만들었다. 작은 개는 큰 개의 심장에 의존해 살지만 괴물은 오래 살지 못했다. 나흘 만에 죽은 괴물은 박제가 돼 독일 박물관에 기증됐다. 데미호프는 장기이식 수술의 선구자였다. 머리 둘 달린 개 실험은 그 일환이었을 터이다. 실험 사진은 당시 지를 통해 전 세계에 알려졌고, 실험 윤리 논란을 일으켰다. 데미호프는 인류의 장기이식 수술 발전에 큰 기여를 했지만 대표적인 ‘배드 사이언티스트’라고 비판 받는다. 에서 이를 소개한 홍성욱 서울대 교수는 데미호프의 실험이 결국 ‘머리 둘 달린 인간’으로 귀결되.. 더보기